35. 여뀌
야생화 35 <여뀌> - 여뀌 Persicaria hydropiper (LINNE)SPACH. [마디풀(여뀌)과]
- 여뀌목 여뀌과 여뀌속의 총칭. 또는 그 중의 한종 P. hydropiper를 가리킨다. 이 속(屬)에 속하는 것은 모두 초본이며 북반구에 약 100종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홑잎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집은 통모양이다. 꽃은 양성화 또는 단성화이고 수상 또는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꽃덮이조각은 4∼5개로 열매가 맺을 때에도 숙존(宿存)하여 열매를 싼다. 수술은 4∼8개이고 암술대는 2∼3개이며 보통은 일부가 합착(合着)한다. 암술머리는 머리모양이고 수과(瘦果)는 렌즈모양 또는 세모서리꼴로 익은 뒤에는 꽃덮이와 함께 떨어진다. 이 속은 육지에서 자라는 것과 물가에서 자라는 것으로 크게 나뉜다. 육지에서 자라는 것은 모두 한해살이로 줄기나 잎에 털이 많은 털여뀌·기생여뀌·끈끈이여뀌·큰끈끈이여뀌 등과 줄기나 잎에 털이 없거나 적은 쪽·개여뀌·장대여뀌·봄여뀌·흰여뀌·명아자여뀌 등이 있다. 물가에서 자라는 것에는 여러해살이로 땅속줄기를 뻗는 물여뀌·꽃여뀌·흰꽃여뀌 등과 한해살이로 땅속줄기를 뻗지 않는 겨여뀌·버들겨이삭여뀌·바보여뀌·붉은대동여뀌·대동여뀌 등이 있다. 이들 중 쪽은 남빛 염료의 원료로서 재배되며 털여뀌는 관상용으로 뜰에 심는다. 여뀌는 한해살이풀이지만 따뜻한 곳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 된다. 물가의 습지에서 자라며 높이 50㎝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며 끝이 뾰족한 넓은 바소꼴로 길이 5∼10㎝이다. 초가을에 흰 바탕에 붉은 빛이 나는 작은 꽃이 드문드문 수상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삼각형모양이고 흑갈색이다. 잎에 매운 맛이 있어 향신채소로 쓰이며, 몇 가지 변종이 재배된다. 변종인 붉은여뀌는 잎과 줄기에 진한 홍자색의 색소가 있는 품종으로 식물 전체가 빨간색이다. 수확한 종자를 저장해두고 수시로 얕은 용기에다 모래를 담은 모판에서 발아시키며, 2장의 잎이 나왔을 때 밑동에서부터 조심스럽게 잘라냄으로써 수확한다. 가는 잎여뀌는 잎이 가늘고 부드러운 품종으로 줄기·잎은 보라색을 띤다. 푸른 여뀌는 잎이 녹색인 품종이다. 가는 여뀌도 잎이 녹색인 품종으로 전체적으로 작고 잎은 가는 편이며 빽빽히 달린다. 여뀌속은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속 명/ 버들여뀌.매운여뀌
분포지/ 전국의 들 또는 시내가
개화기/ 6~9월
결실기/ 9월(수과)
용 도/ 식용.약용(풀전체)
특 징/ 한해살이 풀로
높이 40~80㎝ 내외
꽃 색/ 흰색
꽃형태/ 이삭화서
기 타/ 잎과 줄기로 즙을 내어 고기잡이에 사용(마취시킨다)한다. 어린순은식용한다.
설명출처 : 한국의 야생화 http://www.wildflower.pe.kr/